My UX Projects

콘텐츠 서비스 시니어 모드 UI/UX 가이드라인 과제

푸른염소 2022. 11. 14. 16:21
728x90

 

20년 넘게 UX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지만 그중 가장 의미 있었던 프로젝트를 꼽으라면 '시니어 UI/UX 가이드라인'을 만든 국책 연구 과제가 빠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전체 과제의 규모가 대단히 큰 프로젝트였고, 과제 기간도 총 2년 반(32개월)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였기도 하지만, 가이드라인 전체 구성을 혼자서 기획하고, 모든 가이드라인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한 권의 책으로 결과물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는 과제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 다양한 참여 연구 기관에서 실험한 결과 데이터를 받아 실험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 산학협력을 통해 조사한 전 세계의 국제 표준, 국가 표준, 기업 표준을 가이드라인화하기 위한 기획 과정, 그리고 이를 디자인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가이드라인화하는 과정에서 한 문장 한 문장을 직접 써 내려갔던 많은 시간들이 UI/UX 연구자로서 경험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체 과제 개요

 

'콘텐츠 서비스 시니어 모드 UI/UX 가이드라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의 문화기술 연구개발 지원 사업으로 2016년 5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총 3차 연도(32개월)에 걸친 연구를 통해 만들어졌습니다. 

전체 연구 과제의 제목은 '스마트 시니어 세대의 문화향유를 위한 인지 반응 맞춤형 UI/UX 기술 개발'입니다.

과제를 통해 인지 반응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측정 데이터를 군집화하여 스마트 시니어의 다양한 유형을 모델링 한 후 이를 자동화된 알고리즘으로 만들어 실제 스마트 시니어가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때 자신의 프로파일에 맞는 최적화된 모드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과제의 최종 목표였습니다.  

 

 

콘텐츠 서비스 시니어 모드
UI/UX 가이드라인

 

전체 과제에서 '콘텐츠 서비스 시니어 모드 UI/UX 가이드라인'은 참여 기관의 다양한 연구 및 실험 내용을 집대성하고, 시니어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사례에서 활용할 수 있는 UI/UX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진행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3차 연도에 걸쳐 3권의 책으로 발행이 되었고, 각 해마다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최종본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Chapter 1
시니어 모드 UI/UX 원칙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의 뼈대가 되는 국제 표준의 수집과 정리는 산학협력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Google Material, Google Android, Apple, Samsung, LG 등 주요 글로벌 기업의 접근성 가이드라인 자료와 ISO 국제 표준 자료 5개, 한국 표준 정보망 자료 8개, 경성대 UDRC 연구 표준 1개, 코넬 대학교 연구 표준 1개, 일본 표준 규격(JIS) 8개, 유럽 표준규격(CEN) 1개, 기타 논문 연구 자료 36개에 달하는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하였고, 해당 분석 과정에서 시니어와 관련된 표준 자료를 추출하고, 표준화 동향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전체 가이드라인의 뼈대가 완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조사의 결과가 가이드라인의 Chapter 1에 해당하는 시니어 모드 UI/UX 원칙 가이드라인입니다. 

 

 

UI/UX 원칙 가이드라인은 <1. GUI, 2. AUI, 3. Control UI, 4. Delivery, 5. Information Acceptance>라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원칙을 정리하고 해당 원칙에 따른 대표 사례 (잘된 사례, 잘못된 사례)를 추가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했습니다. 

 

 

Chapter 2
시니어 모드 UI/UX 디자인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의 Chapter 2는 실제 UI/UX 디자인을 제작할 때 쉽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좀 더 상세한 디자인 요소 별 가이드라인과 구체적인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항목은 <1. 색상, 2. 아이콘, 3. 레이아웃, 4, 타이포그래피, 5. 레이블링, 6. 정보 구조, 7. 내비게이션, 8. 테스크, 9. 콘텐츠>로 구성하여 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원칙과 참고할 수 있는 내용들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가이드라인화하여 다양한 사례와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Chapter 2를 구성하면서는 기존의 문헌 조사만을 바탕으로 완성된 UI/UX 가이드라인과는 다르게 여러 참여 기관의 시니어 대상 인지 반응 실험 데이터를 추가하여,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실제로 고령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시키는데 주력하였습니다. 

 

 

마무리하며

 

시니어 UI/UX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완료한지 벌써 약 3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UI/UX 디자인의 트렌드가 바뀌고 고령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도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연령에 따른 고령자들의 인지 반응 능력은 단기간에 변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니어 UI/UX 가이드라인에서 정리하고 있는 내용과 데이터들은 앞으로도 꽤 오랜 시간 동안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시니어 UI/UX 가이드라인은 지난 몇 년간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를 요청받기도 하였고, 시니어 UI/UX 가이드라인을 참고해서 과제를 수행했다는 기업 UI/UX 담당자들을 우연치 않게 만나는 경험도 여러 번 있었습니다. 또한 UX 디자이너 채용 면접 중에도 이 가이드라인을 언급하는 디자이너들이 많아 상당한 보람으로 다가옵니다. 

작년에는 중국 칭화대의 대학원에서 이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중국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특화 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다고 하여 선행 연구자로서 관련 내용이나 구성을 검토하고 의견을 준 적이 있습니다.

시니어 UI/UX 가이드라인 개발은 지금까지 수행한 프로젝트 중 가장 공익적이고 보람있는 프로젝트로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http://www.initiondata.kr/SeniorUX/Senior%20UX_Spread.pdf

728x90

'My UX Proje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운전면허증 UI/UX 개발 프로젝트 이야기  (0) 20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