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방법론 18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아이디어 발상법

Contents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의 원칙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의 고려 사항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실패의 원인 아이디어 발상법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Braingstorming)은 '두뇌(Brain)'와 '폭풍(Storm)'의 합성어로 머리에서 폭풍이 몰아치듯이 거침없는 발상과 자유로운 관점에서 아이디어 도출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 미국의 유명 광고 회사 출신인 알렉스 오스본(Alex F. Osborn, 1888~1966)의 저서 《Applied Imagination(독창력을 신장하라)》를 통해 널리 알려진 기법입니다. 과거, 오스본은 회사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제출하는 아이..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

Contents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의 효과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의 제작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의 표현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 제작 툴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 사용자 여정 지도는 서비스와 인터랙션 개선을 위한 뼈대로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하는 방법입니다. 사용자 여정 지도를 통해 서비스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반적인 서비스 사용자의 경험을 조망하고 중요한 터치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단계에서의 맥락(Context)에 기반하여 고객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채널, 불편..

퍼소나 / 페르소나 (Persona)

Contents 퍼소나 / 페르소나(Persona)의 의미 디자인 방법론에서의 퍼소나(Persona) 퍼소나(Persona)를 만드는 이유와 과정 퍼소나(Persona)의 활용 효과 퍼소나(Persona) 활용 시 주의할 점 퍼소나(Persona)를 만드는 과정 퍼소나(Persona)의 문서화 퍼소나 / 페르소나(Persona)의 의미 페르소나(persona)는 그리스 어원의 '가면'을 나타내는 말로 '외적 인격' 또는 '가면을 쓴 인격'을 뜻합니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은 사람의 마음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이러어지며 여기서 그림자와 같은 페르소나는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며 자아의 어두운 면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아가 겉으로 드러난 의식의 영역을..

질의 응답(Questionnaires) / 온라인 서베이(Online Survey)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Contents 질의응답 (Questionnaires) 방법 온라인 서베이 (Online Survey) 구글 설문지의 활용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 질의응답 (Questionnaires) 방법 질의응답은 설문지에 나와있는 일련의 질문을 사용자들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들이 직접 작성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람들의 생각, 감정, 인식, 태도, 행동 등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동일한 설문지의 내용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응답을 구한 후, 응답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인식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베이 (Online Survey) 최근에는 대부분 온라인을 이용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며, 온라인 서베이 (Online Suvey)라는 명칭으로 부릅니다. 온라인 서베이를 이용..

포커스 그룹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Contents 포커스 그룹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의 기본 단계 모더레이터(Moderator)의 역할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진행 시 주의할 점 포커스 그룹 인터뷰 사례 포커스 그룹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서비스의 타깃에 맞는 사용자 그룹을 인구 통계적 자료에 바탕하여 한자리에 모아 놓고 토론하는 리서치 기법입니다. 서비스를 처음 출시하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첫인상을 알아보려 할 때 주로 사용하고,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대상자들의 감정, 태도, 생각 등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합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할 때는 모더레이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숙련된 모더레이터는 인터뷰 과..

03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인터뷰 결과 분석

Contents 심층 인터뷰의 결과 분석 순서 인터뷰 결과의 군집화 (Clustering) 인터뷰 결과의 분석 심층 인터뷰의 결과 분석 순서 심층 인터뷰는 가장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리서치 방법이지만, 방대한 Raw data를 분석해야 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인터뷰 진행 시에 의미있는 대답들을 체크해 두면 이후 분석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심층 인터뷰의 분석 과정은 크게 중요한 답변이나 키워드를 군집화(Clustering)하는 과정과 Pain Point, Needs, Wants를 정리하는 과정, 인사이트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인터뷰 결과의 군집화 (Clustering) 근본적인 원인이나 니즈에 따른 군집화 자동차 이용과 관련한 개선점을 찾는 인..

02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인터뷰 방법

Contents 심층 인터뷰의 Key Point 관계 맺기 (Relation) 질문 하기 (Question) 듣기 (Listen) 인터뷰 팁 인터뷰할 때 하지 말아야 할 행동 심층 인터뷰의 Key Point 심층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관계 맺기(Relation), 질문 하기(Question), 듣기(Listen)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계 맺기 (Relation) 심층 인터뷰는 인터뷰 대상자의 생활이나 잠재적 니즈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해야 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인터뷰에 들어가기에 앞서 인터뷰 대상자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드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라포르 형성 과정이라고 합니다. 라포르 (Rapport) 주로 두 사람 사이의 상호신뢰관계를 나타내는 심리학 ..

01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기본 개념

Contents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란? 리포터의 인터뷰 vs. 심층 인터뷰 수다 vs. 인터뷰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란?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는 인뎁스 인터뷰라고도 하며, 사용자의 잠재적인 혹은 구체적인 니즈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리서치 방법입니다. 인터뷰 대상자에게 다양한 질문들을 던지고,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새로운 질문들을 이어나가면서 깊이 있는 내용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1:1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한 경우 기록이나 청취를 위해 한두명이 더 참여할 수는 있으나 인터뷰의 집중도를 위해 질문을 이어나가는 인터뷰어는 한 명이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경우에 따라 인터뷰를 청취하는 ..

관찰 기법 : 쉐도잉 (Shadowing)

Contents 동행 관찰 / 쉐도잉(Shadowing)의 정의 동행 관찰 / 쉐도잉(Shadowing)의 특징 동행 관찰 / 쉐도잉(Shadowing)의 장단점 동행 관찰 / 쉐도잉 (Shadowing)의 정의 쉐도잉(Shadowing)은 동행 관찰이라고도 부르며, 리서치를 하는 사람이 대상자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닌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관찰자가 대상자의 일상을 쫓아다니면서 이용행태를 기록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동행 관찰 / 쉐도잉 (Shadowing)의 특징 제품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서의 사용상 Pain points, Needs, Idea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자연 관찰 조사법입니다.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기회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실제 사용자의 요구를 깊이 있게 파악하고자 할..

관찰 기법 : 타운 워칭 (Town Watching)

Contents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정의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활용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수행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정의 타운 워칭은 관찰자가 한 자리에서 장소 및 대상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제품이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있거나 장소에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많이 달라질 경우 타운 워칭 기법을 사용하면 좋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활용 타운 워칭은 단순히 한 장소의 보이는 면을 관찰하는 수동적인 보기(Seeing)과는 구분이 됩니다. 마케팅 분야에서는 거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이 창조하는 이미지와 상징을 관찰하여 분위기와 트렌드를 읽어내는 기법으로 타운 워칭을 활용합니다. 이는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