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 Mehodology

질의 응답(Questionnaires) / 온라인 서베이(Online Survey)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푸른염소 2022. 9. 27. 16:34
728x90

Contents

질의응답 (Questionnaires) 방법
온라인 서베이 (Online Survey)
구글 설문지의 활용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

질의응답 (Questionnaires) 방법

 

질의응답은 설문지에 나와있는 일련의 질문을 사용자들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들이 직접 작성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람들의 생각, 감정, 인식, 태도, 행동 등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동일한 설문지의 내용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응답을 구한 후, 응답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인식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베이 (Online Survey)

 

최근에는 대부분 온라인을 이용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며, 온라인 서베이 (Online Suvey)라는 명칭으로 부릅니다. 

 

온라인 서베이를 이용하면  제한 없이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질문지를 배포하고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통계 데이터가 자동 생성되기 때문에 응답 결과에 대한 분석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온라인 서베이 수행 시에는 설문 내용에 대해 충실히 답변할 수 있는 그룹을 대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하는 것이 좋으며, 설문 수행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경우 답변 작성의 성실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구글 설문지의 활용

 

구글 설문지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설문 툴입니다.

 

단답형 답변, 장문형 답변, 객관식 질문, 체크 박스, 직선 단계 (리커트 척도) 등 설문 조사 방식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온라인 서베이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

 

질의응답 기법 중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는 특정 대상에 대한 개인의 태도, 생각, 감정 등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러커트 척도는 1930년대 초 Resis Likert에 의해 개발된 척도 방식으로, 응답자는 측정 대상(예를 들면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의견)과 관련된 일련의 문항들에 대해 [매우 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 불만족] 등의 다섯 가지 눈금 중 하나에 자신의 견해를 표시하게 되고, 이 결과에서 얻은 모든 반응 값들을 합친 총점, 혹은 평균값을 통해 대상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지표화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4 ~ 7개 사이의 척도를 많이 사용하나, 응답자의 지적 수준이나 문항에 대한 친숙도가 낮을 경우에는 눈금의 수를 적게해야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글 설문지를 통해서도 리커트 척도를 조사할 수 있으며, 조사된 응답에 대한 통계 데이터도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