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業 3

인하우스(In-house)와 에이전시(Agency)의 UX 디자인 업무 장단점

과거 e커머스 회사에 팀장으로 있을 때 정말 많은 UX 디자이너의 면접을 봤는데, 상당수의 디자이너가 디자인 에이전시 출신이었습니다. 그들에게 이직을 원하는 이유를 물어보면 모두가 동일한 대답을 합니다. 디자인 에이전시에서 몇 년간 일했는데 이제는 남의 회사의 디자인이 아닌 내 회사의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싶다는 이야기입니다. 디자인 에이전시에 근무하는 많은 디자이너들이 어느 정도의 경력이 쌓이면 이러한 이유로 이직을 결심하곤 합니다. 저는 디자인이라는 업의 본질이 에이전시라는 구조에 더 맞는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누군가 디자인 영역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면, 어떠한 산업 도메인이더라도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야말로 디자인이라는 업의 궁극적인 가치에 더 맞는다..

UX 業 2022.11.10

면접관 관점에서 본 UX 디자이너 취업 준비 (포트폴리오, 이력서, 면접)

개인적으로 10년 정도의 연차가 넘어서면서부터 많은 UX 디자이너 채용 면접을 보게 되었습니다. 처음 일하던 회사는 워낙 대기업이다 보니 10년 가까운 수준의 경력으로는 면접이나 채용에 관여할 기회가 없었으나, 초고속 성장하는 e 커머스 회사에 팀장으로 있을 때에는 정말 많은 이력서/포트폴리오 검토 및 면접을 진행해야 해서 그것 자체가 고된 노동에 가까웠습니다. 이후 디자인 에이전시에 임원으로 있는 동안에도 강도 높은 수준의 시스템화된 면접은 아니었지만 채용 면접을 통해 다양한 UX 디자이너를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20년 정도의 경력이 된 현재에 돌아보면 '정말 많은 사람들의 면접을 봐왔구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는 나름 면접에 대한 관점도 생기고 관심 가는 UX 디자인 지원자의 특징도 눈에 띄게 ..

UX 業 2022.10.25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UX 접근 방법의 차이

과거에 제조사(S전자)에서 10년, 서비스 회사(C커머스)에서 2년의 직장 생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를 이직했던 큰 이유 중, 제조업에서 접근하는 UX 디자인은 아무래도 단일 제품에 한정된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회사의 UX 디자인을 경험해 보지 못하면 전반적인 UX 디자인에 대한 반쪽의 이해밖에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꽤 오래 전 기억이기는 하지만,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의 UX에 대한 관점과 업무적인 차이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이라고는 하지만 제가 경험한 범위 내에서만 이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분야를 포괄한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다양한 제조업 중 모바일 관련 분야, 다양한 서비스업 중 e커머스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생각한 부분들입니다. Uniqu..

UX 業 202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