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방법론 14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UX 접근 방법의 차이

과거에 제조사(S전자)에서 10년, 서비스 회사(C커머스)에서 2년의 직장 생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를 이직했던 큰 이유 중, 제조업에서 접근하는 UX 디자인은 아무래도 단일 제품에 한정된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회사의 UX 디자인을 경험해 보지 못하면 전반적인 UX 디자인에 대한 반쪽의 이해밖에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꽤 오래 전 기억이기는 하지만,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의 UX에 대한 관점과 업무적인 차이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이라고는 하지만 제가 경험한 범위 내에서만 이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분야를 포괄한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다양한 제조업 중 모바일 관련 분야, 다양한 서비스업 중 e커머스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생각한 부분들입니다. Uniqu..

UX 業 2022.09.21

03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인터뷰 결과 분석

Contents 심층 인터뷰의 결과 분석 순서 인터뷰 결과의 군집화 (Clustering) 인터뷰 결과의 분석 심층 인터뷰의 결과 분석 순서 심층 인터뷰는 가장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리서치 방법이지만, 방대한 Raw data를 분석해야 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인터뷰 진행 시에 의미있는 대답들을 체크해 두면 이후 분석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심층 인터뷰의 분석 과정은 크게 중요한 답변이나 키워드를 군집화(Clustering)하는 과정과 Pain Point, Needs, Wants를 정리하는 과정, 인사이트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인터뷰 결과의 군집화 (Clustering) 근본적인 원인이나 니즈에 따른 군집화 자동차 이용과 관련한 개선점을 찾는 인..

02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인터뷰 방법

Contents 심층 인터뷰의 Key Point 관계 맺기 (Relation) 질문 하기 (Question) 듣기 (Listen) 인터뷰 팁 인터뷰할 때 하지 말아야 할 행동 심층 인터뷰의 Key Point 심층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관계 맺기(Relation), 질문 하기(Question), 듣기(Listen)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계 맺기 (Relation) 심층 인터뷰는 인터뷰 대상자의 생활이나 잠재적 니즈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해야 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인터뷰에 들어가기에 앞서 인터뷰 대상자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드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라포르 형성 과정이라고 합니다. 라포르 (Rapport) 주로 두 사람 사이의 상호신뢰관계를 나타내는 심리학 ..

01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기본 개념

Contents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란? 리포터의 인터뷰 vs. 심층 인터뷰 수다 vs. 인터뷰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란?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는 인뎁스 인터뷰라고도 하며, 사용자의 잠재적인 혹은 구체적인 니즈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리서치 방법입니다. 인터뷰 대상자에게 다양한 질문들을 던지고,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새로운 질문들을 이어나가면서 깊이 있는 내용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1:1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한 경우 기록이나 청취를 위해 한두명이 더 참여할 수는 있으나 인터뷰의 집중도를 위해 질문을 이어나가는 인터뷰어는 한 명이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경우에 따라 인터뷰를 청취하는 ..

관찰 기법 : 쉐도잉 (Shadowing)

Contents 동행 관찰 / 쉐도잉(Shadowing)의 정의 동행 관찰 / 쉐도잉(Shadowing)의 특징 동행 관찰 / 쉐도잉(Shadowing)의 장단점 동행 관찰 / 쉐도잉 (Shadowing)의 정의 쉐도잉(Shadowing)은 동행 관찰이라고도 부르며, 리서치를 하는 사람이 대상자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닌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관찰자가 대상자의 일상을 쫓아다니면서 이용행태를 기록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동행 관찰 / 쉐도잉 (Shadowing)의 특징 제품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서의 사용상 Pain points, Needs, Idea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자연 관찰 조사법입니다.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기회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실제 사용자의 요구를 깊이 있게 파악하고자 할..

관찰 기법 : 타운 워칭 (Town Watching)

Contents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정의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활용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수행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정의 타운 워칭은 관찰자가 한 자리에서 장소 및 대상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제품이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있거나 장소에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많이 달라질 경우 타운 워칭 기법을 사용하면 좋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타운 워칭(Town Watching)의 활용 타운 워칭은 단순히 한 장소의 보이는 면을 관찰하는 수동적인 보기(Seeing)과는 구분이 됩니다. 마케팅 분야에서는 거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이 창조하는 이미지와 상징을 관찰하여 분위기와 트렌드를 읽어내는 기법으로 타운 워칭을 활용합니다. 이는 디..

관찰 기법 : 에스노그라피 (Ethnography)

Contents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의 기원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의 정의 비디오 에스노그라피(Video Ethnography) 비디오 에스노그라피(Video Ethnography)의 한계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의 기원 브로니스와프 카스페르 말리노프스키(1884년 4월 7일 ~ 1942년 5월 16일)는 폴란드 태생의 영국 인류학자입니다. 런던 대학에서 사회인류학 교수, 예일 대학에서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뉴기니 동북의 트로브리안드 등, 여러 섬의 실지 조사를 통해 인류학에 새로운 방향을 연 인물입니다. 말리노프스키 이전까지 인류학을 연구하는 방법은 주로 문헌을 통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말리노프스키는 트로브리안드 군도에 2년 동안 머무르면서 지역 주..

관찰 기법(Observation)의 개요 (AEIOU framework)

Contents 관찰 기법 (Observation)의 정의 관찰의 필요성 관찰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AEIOU framework) 관찰 및 분석 과정 관찰 기법(Observation)의 정의 관찰 기법은 기본적인 연구 기술 중의 하나로 사람이나 사물, 환경, 사건, 행동, 상호작용 등의 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그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관찰의 필요성 말로 표현되는 고객의 니즈는 5%에 불과하다. 95%는 숨겨져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제랄드 잘트만 교수는 "말로 표현되는 고객의 니즈는 5%에 불과하다. 95%는 숨겨져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용자(고객)는 직접적인 질문에 대해 본인의 생각 또는 잠재된 의식과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겉과 속이 다..

데스크 리서치 (Desk Research)

Contents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의 정의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의 장점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의 필요성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의 방법 데스크 리서치(Desk Research) 수행 시 주의 사항 데스크 리서치 (Desk Research) 정의 데스크 리서치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연구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보고서, 논문, 규정, 문건 등을 통해 사전 연구를 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기존 문헌에 대한 검토는 그 주제에 대해 어떤 종류의 연구들이 이루어져 있는지? 기존 연구에서 발견한 것은 무엇인지? 다른 연구자들은 어떤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는지? 아직 연구되지 않은 문제들은 무엇인지? 시작하려는 연구가 그 분야의..

정량적 리서치와 정성적 리서치의 활용과 특징

Contents 정량적 리서치와 정성적 리서치의 활용 목적의 차이 방향성의 차이 각각의 주요 특성 활용 용도의 차이 자료 수집 방법의 차이 조사 도구의 차이 질문 방법의 차이 각각의 장단점 각각의 한계 디자인 리서치의 특성 정량적 리서치와 정성적 리서치의 활용 정량적 리서치는 단순히 숫자만을 보여주지만 정성적 리서치는 그 숫자 뒤에 감춰진 의미를 알게 해 줍니다. 따라서 정량적 리서치와 정성적 리서치는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됩니다. 정성 조사와 정량 조사는 주제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기도 하지만,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 동시에 진행하기도 합니다. 정량 조사를 통해 내용들을 숫자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정보들이 소실됩니다. 정성 조사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