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 Mehodology

01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 기본 개념

푸른염소 2022. 9. 14. 17:57
728x90

pexels.com

 

Contents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란?
리포터의 인터뷰 vs. 심층 인터뷰
수다 vs. 인터뷰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란?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는 인뎁스 인터뷰라고도 하며, 사용자의 잠재적인 혹은 구체적인 니즈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리서치 방법입니다.
인터뷰 대상자에게 다양한 질문들을 던지고,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새로운 질문들을 이어나가면서 깊이 있는 내용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1:1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한 경우 기록이나 청취를 위해 한두명이 더 참여할 수는 있으나 인터뷰의 집중도를 위해 질문을 이어나가는 인터뷰어는 한 명이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경우에 따라 인터뷰를 청취하는 참여자들의 추가적인 질문이 있을 경우에도 인터뷰어를 통해 일관되게 질문을 하게 됩니다.

 

 

리포터의 인터뷰 vs. 심층 인터뷰

 


우리가 TV에서 흔히 접하는 방송 인터뷰의 경우에는 정해진 대답을 유도하기 위한 내용이 많습니다.
정해진 주제나 구체적인 인터뷰 대상이 있고, 그 주제나 대상에 따라 내용의 방향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방송 인터뷰는 단편적인 사실, 듣고 싶은 내용, 유도 질문, 원하는 대답 등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고, 인터뷰 내용을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사진 출처 : burst


반면 디자인 리서치에서 활용하는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기법은 있는 사용자의 순수한 경험을 그대로 듣고,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에스노그라피와 같은 참여적 관찰 기법에서도 있는 그대로의 환경을 그대로 보고자 하는 것과 같이 디자인 리서치는 최대한 꾸며지지 않은 환경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다 vs. 인터뷰

 


수다와 인터뷰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내가 상대방과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자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다를 떠는 것은 특정한 관점 없이 생각나는 주제를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인터뷰의 경우는 정확히 원하는 것을 얻어내기 위한 관점이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수다는 목적성이 없지만 인터뷰는 분명한 목적성이 있습니다.
질문자는 알고 싶은 것이 많으므로 말을 많이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능숙한 인터뷰어는 인터뷰 대상자가 침묵의 공백을 채우고 더 많은 말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즉, 우리가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할 때에는 정확한 관점을 가지고 상황에 맞게 유연한 대처를 하면서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