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 Mehodology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아이디어 발상법

푸른염소 2022. 10. 12. 16:31
728x90

pixabay

 

Contents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의 원칙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의 고려 사항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실패의 원인
아이디어 발상법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Braingstorming)은 '두뇌(Brain)'와 '폭풍(Storm)'의 합성어로 머리에서 폭풍이 몰아치듯이 거침없는 발상과 자유로운 관점에서 아이디어 도출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 미국의 유명 광고 회사 출신인 알렉스 오스본(Alex F. Osborn, 1888~1966)의 저서 《Applied Imagination(독창력을 신장하라)》를 통해 널리 알려진 기법입니다.

과거, 오스본은 회사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제출하는 아이디어가 창의적이지 못한 데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 브레인스토밍입니다. 즉, 개인보다는 집단이 사고할 때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뛰어난 아이디어가 많이 나올 수 있다고 보았고, 이후 그의 저서를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의 원칙

 

1. 주제 명시

주제는 구체적일수록 더 생산적이며, 참여자들이 주제를 잊지 않고 관련된 의견을 나눌 수 있습니다.

 

2. 자유 분방

대화, 회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직급에 의한 권위, 일방적 대화(훈계)에서 자신의 의견을 편안히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3. 비판 엄금

자유분방을 해치는 것이 비판입니다. 사람은 각자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방의 의견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반대 의견을 제시하면 감정적 대응이나 토론 중단 또는 불필요한 논쟁으로 변하게 됩니다.

 

4. 질보다 양

한 번의 브레인스토밍에서 정답을 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요구하는 답을 구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집이라는 관점에서 보다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의견 경청

브레인스토밍 시에는 혼자 많이 생각하고 결과를 이야기하려 하지 말고 타인의 의견을 듣고 즉각적으로 생각나는 대로 이야기하며 많은 양을 만들어내는 것이 요구됩니다.

 

6. 시각적 표현

좌뇌와 우뇌, 논리와 창조적인 면을 같이 사용하도록 시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의 고려 사항

 

참여 인원과 장소
  • 브레인스토밍의 참여 인원은 6~10명이 이상적입니다. 너무 적을 경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어렵고, 너무 많을 경우 아이디어의 흐름을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 참여자가 너무 많을 경우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그룹 형태로 나누어야 이상적인 분위기에서 브레인스토밍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너무 조용하거나 너무 시끄러운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산만하거나 자신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주지 않을 경우 참여자들은 곤란이나 좌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 유형
  • 브레인스토밍의 핵심은 다양성에 있습니다. 폭넓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성별, 연령, 직종, 국적 등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새로운 멤버로 브레인스토밍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나 같은 멤버로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있으면 점차 틀에 박힌 아이디어만 나오게 됩니다. 

 

브레인스토밍 시간
  • 브레인스토밍의 시간은 문제가 얼마나 복잡한가, 얼마나 많은 아이디어가 필요한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어진 문제의 성격에 따라 적절하게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일반적으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적당하지만, 좋은 아이디어는 '한 순간'에 떠오르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브레인스토밍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시간대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으나, 모든 참여자들이 여유 있고 쾌활하게 참여할 수 있는 시간대가 좋습니다.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실패의 원인

 

브레인스토밍을 실패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는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적인 원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 참여자의 아이디어에 대한 섣부른 비판을 하는 경우
  • 브레인스토밍의 진행을 돕는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자질 부족이나 부재
  • 아이디어에 대한 사전 검열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 문제의 핵심을 너무 많이 벗어나는 경우
  • 아이디어의 실행 가능성부터 따지려는 경우

 

 

아이디어 발상법

 

기존의 오래된 여러 가지 요소를 결합, 연결, 종합, 연상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거나, 이전에 전혀 연관 없다고 생각했던 것들 사이에서 연관성을 찾아낼 때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발상적 시도를 통해 다각적으로 사고해 보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분해해 보자

대상을 구성 요소별로 분해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떠올려 봅니다.

 

대체해 보자

대상을 현재의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대체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떠올려 봅니다. 

 

통합해 보자

여러 가지 대상을 합치고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을 떠올려 봅니다.

 

반대로 해 보자

기존의 내용이나 순서를 뒤집어 볼 수 있는 방법을 떠올려 봅니다. 

 

배워 보자

다른 분야에서 배우거나 참고할 수 있는 것이 있을지 떠올려 봅니다. 

 

제거해 보자

대상의 요소를 줄이거나 생략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지 떠올려 봅니다. 

 

다르게 해보자

개선을 위해 어떤 부분을 다르게 바꿀 수 있을지 떠올려 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