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 Mehodology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 / KJ 기법 (KJ Method)

푸른염소 2022. 10. 24. 15:21
728x90

unsplash.com

 

Contents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의 효과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의 활용 과정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

 

친화도법(Affinity Diagram)은 동일 주제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나 전망 자료를 종합하여 유사성이나 연관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제시하는 방법입니다.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많은 아이디어나 생각들이 도출은 되었으나 정돈되지 않아 전체적인 파악이 어려울 때 이 기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아이디어나 정보를 몇 개의 연관성 높은 그룹으로 분류하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 親和圖法] 

 

 

친화도법은 1964년 일본 학자 가와기타 지로(Kawakita Jiro)에 의해 고안되어, KJ기법(KJ Method, KJ Technique, KJ Clustering, KJ Map)이라고도 부릅니다. 

브레인스토밍으로부터 쏟아져 나온 수많은 아이디어를 검토하고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데이터를 군집화(Clustering)하는 방법 등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자연스러운 연관성을 바탕으로 개별 아이디어를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문제해결방법을 찾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입니다. 

 

 

친화도법 (Affinitiy Diagram)의 효과

 

친화도법은

  • 정리되지 않은 아이디어들을 목적에 맞게 구체화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 문제의 상위 우선순위를 발견하도록 도와줍니다.
  •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줍니다.

 

 

친화도법 (Affinitiy Diagram)의 활용 과정

 

 

친화도법의 과정은 먼저 많은 양의 아이디어(또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사한 아이디어를 그룹핑한 후 그룹핑된 아이디어 묶음에 친화적인 그룹 이름을 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그룹핑 과정이 끝나면 각 그룹 간의 관계를 도식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게 됩니다. 

 

1. Post it 붙이기

친화도법을 수행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툴은 포스트잇입니다. 하나의 포스트잇에 하나의 아이디어(하나의 사실 또는 속성)를 적어서 붙이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2. 그룹화

유사한 정보들을 그룹화합니다. 그룹화가 완료되면 각 그룹을 대표하는 레이블(Label)을 붙입니다.

이때 느낌이 오는 대로 빠르게 관찰하면서 신속하게 그룹화하는 것이 좋고, 이를 군집화 (Clustering)이라고 합니다.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못하는 단일 포스트잇들이 보인다면, 그 포스트잇 자체가 하나의 그룹이 될 수 있습니다. 

 

그룹화의 과정은 친화도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룹화를 진행할 때에는 각 포스트잇의 내용에 대해 시간을 들여 꼼꼼히 읽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부적절한 포스트잇은 수정해가면서 진행하면 좀 더 쉽게 그룹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너무 추상적으로 기술된 내용이 있다면 좀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보완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고, 그룹을 만든 이후에도 생각나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계속해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그룹화와 점검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체 맵(Map)을 완성해 갑니다. 

 

3. 하이레벨 그룹화

만들어진 그룹들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더 높은 차원의 그룹을 만들어 나갑니다. 그룹이 10개 이하로 될 때까지 계속해서 그룹의 차원을 높여갑니다. 

 

4. 공간 배치

전체 공간을 활용해 각 그룹들을 적당히 배치합니다. 그룹들이 어떻게 모여 있어야 가장 합리적 일지 고민하면서 정리된 배치를 만들고, 그룹의 차원이 높은 큰 그룹에서 작은 그룹의 순서로 배치해 나갑니다. 

 

5. 관계 도식화

매직이나 펜, 라인 테이프 등으로 그룹 간의 관계, 포스트잇 간의 관계를 도식화합니다. 

그룹 간의 관계와 포스트잇 사이의 관계를 표시할 때 라인의 굵기나 모양, 색을 다르게 표현하면 아이디어의 가독성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인과관계, 상호관계, 대립관계 등을 생각하며, 연결 속성에 해당하는 범례를 만들어 관계를 도식화합니다.

 

6. Affinity Diagram 기반의 인사이트(Insight) 도출

완성된 Affinity Diagram을 토대로 인사이트를 도출할 때에는 패턴화 된 다이어그램을 멀리서 조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별적인 아이디어가 모여 시각화된 클러스터들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