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 Mehodology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의 활용을 위한 자세

푸른염소 2022. 8. 9. 15:20
728x90

pexels.com

 

'디자인 방법론 불변의 법칙 100가지'라는 책을 보면 100가지의 방법론이 빼곡히 적혀 있습니다. 

 

 

 

01. A/B 테스트ㆍA/B Test
02. 아에이오우ㆍAEIOU
03. 친화도법ㆍAffinity Diagramming
04. 사물 분석ㆍArtifact Analysis
05. 자동 원격 연구ㆍAutomated Remote Research
06. 행동지도ㆍBehavioral Mapping
07. 바디스토밍ㆍBodystorming
08. 브레인스토밍 시각화ㆍBrainstorm Graphic Organizers
09. 비즈니스 오리가미ㆍBusiness Origami
10. 카드 분류하기ㆍCard Sorting
11. 사례연구ㆍCase Studies
12. 인지지도ㆍCognitive Mapping
13. 인지적 시찰법ㆍCognitive Walkthrough
14. 콜라주ㆍCollage
15. 경쟁제품 테스트ㆍCompetitive Testing
16. 개념지도ㆍConcept Mapping
17. 콘텐츠 분석ㆍContent Analysis
18. 콘텐츠 목록 작성과 검사ㆍContent Inventory & Audit
19. 맥락적 디자인ㆍContextual Design
20. 맥락적 연구ㆍContextual Inquiry
21. 창의적 도구 세트ㆍCreative Toolkits
22. 결정적 사건 분석ㆍCritical Incident Technique
23. 크라우드소싱ㆍCrowdsourcing
24. 문화 조사ㆍCultural Probes
25. 고객 경험 조사ㆍCustomer Experience Audit
26. 디자인 샤레트ㆍDesign Charette
27. 디자인 민족지학ㆍDesign Ethnography
28. 디자인 워크숍ㆍDesign Workshops
29. 호감도 테스트ㆍDesirability Testing
30. 일기장 연구ㆍDiary Studies
31. 이야기 유도하기ㆍDirected Storytelling
32. 엘리토 기법ㆍElito Method
33. 인체공학적 분석ㆍErgonomic Analysis
34. 평가적 연구ㆍEvaluative Research
35. 증거 기반 디자인ㆍEvidence-based Design
36. 경험 프로토타이핑ㆍExperience Prototyping
37. 경험표집방법ㆍExperience Sampling Method
38. 실험ㆍExperiments
39. 탐색적 연구ㆍExploratory Research
40. 시선추적하기ㆍEyetracking
41. 자유모형 제작ㆍFlexible Modeling
42. 몰래 관찰하기ㆍFly-on-the-Wall Observation
43. 포커스 그룹ㆍFocus Groups
44. 생산적 연구ㆍGenerative Research
45. 낙서벽ㆍGraffiti Walls
46. 발견적 평가방법ㆍHeuristic Evaluation
47. 이미지 보드ㆍImage Boards
48. 인터뷰ㆍInterviews
49. 케이제이 기법ㆍKJ Technique
50. 카노 분석법ㆍKano Analysis
51. 핵심성과지표ㆍKey Performance Indicators
52. 사다리 기법ㆍLaddering
53. 문헌 연구ㆍLiterature Reviews
54. 연애편지와 작별편지ㆍThe Love Letter & the Breakup Letter
55. 심성 모형 다이어그램ㆍMental Model Diagrams
56. 생각지도ㆍMind Mapping
57. 관찰ㆍObservation
58. 병행 프로토타이핑ㆍParallel Prototyping
59. 참여관찰ㆍParticipant Observation
60. 참여적 행동 연구ㆍ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AR)
61. 참여적 디자인ㆍParticipatory Design
62. 개인물품 목록ㆍPersonal Inventories
63. 페르소나ㆍPersonas
64. 사진 연구ㆍPhoto Studies
65. 그림 카드ㆍPicture Cards
66. 프로토타이핑ㆍPrototyping
67. 질의 응답지ㆍQuestionnaires
68. 신속한 반복 실험과 평가ㆍRapid Iterative Testing & Evaluation (RITE)
69. 원격 제어 연구ㆍRemote Moderated Research
70. 디자인을 통한 연구ㆍResearch Through Design
71. 역할놀이ㆍRole-playing
72. 시나리오 묘사 스윔레인ㆍScenario Description Swimlanes
73. 시나리오ㆍScenarios
74. 2차 연구ㆍSecondary Research
75. 의미론적 차별법ㆍSemantic Differential
76. 동행 관찰ㆍShadowing
77. 모의실습ㆍSimulation Exercises
78. 검색어 분석ㆍSite Search Analytics
79. 스피드 데이트ㆍSpeed Dating
80. 관계자 지도ㆍStakeholder Maps
81. 관계자 검토ㆍStakeholder Walkthrough
82. 스토리보드ㆍStoryboards
83. 설문조사ㆍSurveys
84. 과제 분석ㆍTask Analysis
85. 영역지도ㆍTerritory Maps
86. 주제 관계도ㆍThematic Networks
87. 소리 내어 생각하기ㆍThink-aloud Protocol
88. 시간인식 연구ㆍTime-aware Research
89. 터치스톤 투어ㆍTouchstone Tours
90. 세 가지 중 선택하기ㆍTriading
91. 삼각측량ㆍTriangulation
92. 불간섭 측정ㆍUnobtrusive Measures
93. 사용성 보고서ㆍUsability Report
94. 사용성 테스트ㆍUsability Testing
95. 사용자 여정 지도ㆍUser Journey Maps
96. 가치 기회 분석ㆍValue Opportunity Analysis
97. 웹 분석ㆍWeb Analytics
98. 가중표ㆍWeighted Matrix
99. 오즈의 마법사ㆍWizard of Oz
100. 단어구름ㆍWord Clouds

 

 

디자이너가 이 모든 방법론을 다 알아야 할까?

 

답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많은 디자인 방법론 중에 실제 필드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론은 10가지 이내일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더 많은 방법론을 알고 있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차이를 가지게 됩니다. 

 

한때 꽤나 유명했던 시골의사 박경철 님을 인터뷰한 글에서 중요한 문장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7978&cid=59153&categoryId=59153

 

의사 박경철의 서재

박경철 ㅣ 의사 소속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활동 라디오-박경철의 경제포커스 저서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시골의사의 부자 경제학>,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관련링크 통합검

terms.naver.com

 

이상하게도 책은 곳곳에 던져두는데 혹시나 그 책이 필요해서 다시 찾으려면 쉽게 가서 찾게 됩니다.
아무래도 책이라는 것이 내가 손에 붙이고 생각을 했던 물건들이라, 그것들이 어디 갔는지 찾아내는 게 그렇게 어려운 과정은 아닌 것 같아요. 

 

 

다양한 리서치 방법을 알고 있어도 모든 방법론을 항상 사용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내 서재에 있는 많은 책들 중에 내가 지금 필요로 하는 책이 어디에 꽂혀 있는지 찾을 수 있듯이, 디자이너가 어떤 방법론을 필요로 할 때, 그 리서치 방법론이 있었음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매번 새롭고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인 리서치 방법이 무엇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선택된 리서치 방법론에 대해서는 필요할 때 조금 더 깊이 공부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리서치 방법론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물에 디자이너의 인사이트를 통해 방향과 전략을 잡고 창의력을 얹어 완성해가는 것이 모든 디자인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