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 Mehodology

사용자 이해를 위한 디자인 리서치의 중요성

푸른염소 2022. 8. 18. 14:43
728x90

unsplash.com

 

디자인 리서치의 사례는 아니지만 디자이너에게 충분히 인사이트가 될만한 사례를 들어볼까 합니다.

'미생'으로 유명한 윤태호 작가의 창작 과정입니다. 

 

 

윤태호 작가는 1988년 허영만, 조운학 문화로 만화계에 입문하였습니다. 

 

대표작으로는 '야후', '이끼', '미생' 등이 있습니다. 

 

'미생'의 경우는 드라마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고, 이끼의 경우는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죠. 

 

윤태호 작가 작품들의 특징은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고찰하고, 인간이 어떤 상황에 놓였을 때 보이는 행동과 다양한 사람들과의 역학관계를 디테일하게 묘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윤태호 작가의 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단편적이지 않고, 복합적 인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내용의 깊이와 비교하여 '이끼'나 '미생'에서 보여주는 그림체는 비교적 단조롭고, 뭔가 좀 쉽게 그린 것 같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윤태호 작가가 스토리를 전개하는 능력에 비해 작화 능력은 많이 떨이지지 않나라는 생각을 가지게도 합니다. 

 

 

 

그러나 윤태호 작가의 초기작 '야후'에서 보여준 사실적인 작화 실력은 이후 윤태호 작가의 작품과 결이 너무도 달라 의아한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습니다. 

 

윤태호 작가는 허영만 화실에서 2년 동안 생활하다가 1990년 만화가 조운학의 화실로 자리를 옮깁니다. 

당시 최고의 작가였던 허명만의 화실은 일이 너무 많아 자기 만화를 연습할 시간이 없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조운학 화실로 자리를 옮기고 난 뒤 그는 하루도 빠짐없이 그림 연습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1993년 '월간점프'에 '비상착륙'이라는 만화를 연재하면서 데뷔하게 됩니다. 하지만 윤태호 작가는 이 작품이 창피했다고 말합니다. 스토리가 매우 빈약했기 때문입니다.

 

그때부터 윤태호 작가는 송지나 작가의 드라마 '모래시계'를 베껴 쓰고, 최인호 작가의 시나리오 전집을 보면서 스토리 공부를 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그는 1996년 성인만화잡지 '미스터 블루'에 '혼자 자는 남편'을 연재하며 주목받았고, 1997년 '연씨별곡'으로 제법 알려진 만화가가 되었습니다. 

 

 

공전의 히트작인 '미생'에서는 종합상사의 직장인들이 가지고 있는 애환과 감정을 세밀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직장 생활을 해본 경험이 없는 윤태호 작가는 직장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의 작품을 그리기 위해 수많은 직장인들을 만나 인터뷰를 하고, 사람에 대한 엄청난 리서치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한 종합상사에 공식적으로 취재 요청을 했지만 업체의 운영 노하우 등이 노출될 수 있어 거절당하기도 하고, 친한 동생의 남자 친구가 종합상사에 다닌다는 것을 알게 되어 두 사람의 데이트를 따라다니며 취재하기도 했습니다.  

강남역에서 종합상사맨들과 6시간 미팅을 갖고 새벽 2시까지 저녁도 먹고 술자리도 합석하면서 취재를 한 경우도 있으며, 이렇게 직장인을 취재하는데만 3년의 시간이 걸렸고, 때로는 9시간 이상 취재한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회사의 조직에 대한 개념 파악을 위해 취재원과 같이 앉아서 마인드 맵까지 일일이 그리면서 직장인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리서치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윤태호 작가가 한 말은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도 충분히 새겨들을 만한 이야기입니다. 

 

 

이말을 그대로 디자인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미학적인 부분을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던 때도 있었으나, 사용자 중심의 사고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유용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이야기하게 된 지 이미 꽤 오래되었습니다. 

 

사용자 중심의 사고를 통한 사용자에게 유용한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에 대한 철저한 리서치가 기반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리서치 방법론, 리서치 과정, 디자이너의 통찰력, 디자이너의 창의력, 사용자/고객 중심의 사고가 종합적으로 필요한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